장 미셸 리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미셸 리브는 1946년 파리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극작가, 연출가, 영화 및 TV 감독, 시나리오 작가이자 배우이다. 그는 20여 편의 희곡을 집필했으며, 부조리극과 코미디 장르에서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유머와 풍자로 풀어내는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대표작으로는 몰리에르상 등을 수상한 《동물이 없는 극장》과 《뮤제 오, 뮤제 바》가 있으며, 여러 영화 및 TV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그는 2002년 몰리에르상과 아카데미 프랑세즈 연극 대상을 수상했으며, 2007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연극 감독 - 앙드레 앙투안
프랑스의 연출가, 영화 감독, 평론가인 앙드레 앙투안은 1887년 떼아뜨르 리브르 극장을 설립하여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연극을 추구하며 '네 번째 벽' 개념을 혁신적으로 활용했고, 이후 영화 감독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 프랑스의 연극 감독 - 장뤼크 라가르스
장뤼크 라가르스는 프랑스 극작가, 연출가, 소설가로, 아마추어 극단 창단 및 낭트 국립 연극 센터에서의 연극 공부를 통해 극작을 시작하여 《결별》 발표 후 아비뇽 연극제에서 이름을 알렸으나, 에이즈 진단 후 질병과 죽음을 주제로 작품을 쓰다 37세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남자 연극 배우 - 앙드레 부르빌
앙드레 부르빌은 프랑스의 배우, 가수, 작곡가로서, 다양한 직업을 거쳐 보드빌리언으로 활동하다 영화에 데뷔, 루이 드 퓨네스와 코미디 명콤비로 인기를 얻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영화 출연 및 300여 곡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프랑스의 남자 연극 배우 - 닐스 아레스트뤼프
프랑스의 배우이자 연출가인 닐스 아레스트뤼프는 197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영화와 연극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세자르상 남우조연상과 모리에르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2024년 12월 1일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영화 각본가 - 로베르 브레송
로베르 브레송은 아마추어 배우를 '모델'로 활용하는 독자적인 연출, 가톨릭 신앙에 영향받은 구원과 영혼에 대한 주제, 미니멀리즘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는 프랑스 영화 감독이다. - 프랑스의 영화 각본가 - 에릭 로메르
에릭 로메르는 프랑스 뉴웨이브의 중심 인물이자 《카이에 뒤 시네마》 편집장, 그리고 '여섯 개의 도덕 이야기' 등의 연작을 통해 인간관계와 감정의 미묘함을 탐구한 영화감독, 영화 평론가, 소설가이다.
장 미셸 리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장미셸 피에르 페르낭 리브 |
출생일 | 1946년 12월 15일 |
출생지 | 파리, 프랑스 |
직업 | 극작가, 시나리오 작가, 영화 감독, 연극 감독 |
활동 기간 | 1966년–현재 |
2. 생애
1946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1966년 필리프 코르상(배우), 제라르 갸루스트(화가)와 ‘겉옷(Pallium)’이라는 극단을 처음으로 만들었다. 학업을 계속하면서(불문학 석사와 스페인어 학사) 자신의 극단에서 배우와 연출을 계속했다. 1970년에 첫 희곡 <근육질 딸기>를 발표했는데, 이 작품으로 극작가로서 곧바로 인정받았다. 1974년 미셸 베르토와 함께 베르토-리브 극단(Compagnie Berto-Ribes)을 창단했다. 그는 부조리 희극 계열의 작품을 선호했는데, 특히 베케트와 이오네스코 같은 작가들을 좋아하고 초현실주의 예술가들을 좋아했다. 그래서 그의 작품에는 이러한 전통과 성상파괴자 작가들의 흔적이 느껴지기도 한다.
장 미셸 리브는 극작가이자 연출가로, 부조리하고 유머러스한 상황을 통해 인간 본성과 사회 모순을 탐구하는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20여 편의 희곡을 쓴 극작가이며, 샘 셰퍼드, 코피, 그룸베르그, 아라발 등의 현대 작품을 즐겨 다루는 연출가이자, 영화 및 티브이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다. 연극 및 영화와 티브이 작업도 하는 현역 배우로도 잘 알려져 있다.
1980년대에 그가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을 한 티브이 시리즈물 <고마워 베르나르(Merci Bernard)>(1982년~1984년, FR3), <궁전(Palace)>(1988, Canal+)은 큰 성공을 거둬 대중들로부터 열렬한 호응을 얻기도 했다.
신랄하게 비꼬는 유머로 유명한 그의 작품들은 특히 연극 쪽에서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3. 작품 세계
1966년 옥타브 미르보의 ''어엿한 작가에게''와 루이지 피란델로의 ''어쩌면 꿈을 꿨을지도''를 연출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벤 존슨의 ''연금술사''(1967), 페르난도 아라발의 ''바라바스의 노래''(1969) 등을 무대에 올렸다.
1987년에는 자크 오펜바흐의 오페레타 ''탄식의 다리''를 연출해 최우수 뮤지컬 부문 몰리에르상 후보에 올랐고, 해럴드 핀터의 ''생일 파티''를 연출했다. 1988년에는 외젠 라비슈의 ''라 카뇨트''를 연출했다.
1994년 장마리 구리오의 ''브레브 드 콩투아''를 연출, 최우수 연출가 및 코미디 부문 후보에 올랐다. 같은 해 배리 크레이턴의 ''두 사람의 서커스''를 연출했다. 1998년 장클로드 귐베르의 ''어쩌면 꿈을 꿀지도'' 연출로 최우수 연출가 및 창작 부문 후보에 올랐고, 비평가 대상 최우수 프랑스 창작 부문을 수상했다.
1999년 장마리 구리오의 ''레 누벨 브레브 드 콩투아'' 연출로 최우수 코미디 부문 후보에 올랐고, 장루이 부르동의 ''테디''를 연출했다. 2000년에는 키스 워터하우스의 ''제프리 버나드 이즈 언웰(Jeffrey Bernard Is Unwell)''과 장클로드 귐베르의 ''오텐부르크의 아모르프''를 연출했다.
2002년 장클로드 귐베르의 ''랑팡 도'', 호세 플리야의 ''르 콩플렉스 드 테나르디에'', 크리스티앙 시메옹의 ''라 프리아피 데 제크레비스''를 연출했다. 2003년 프랑수아 롤랭의 ''롤랭 교수는 할 말이 있다''와 기 베도 등의 ''기 베도''를 연출했다. 2004년에는 Roland Dubillard|es||fr||gl||ht||no프랑스어의 ''르 자르댕 오 베트라브''를 연출했다.
2005년 다니엘 페낙의 ''메르시'', 이브 라베이의 ''신은 좋은 구성의 스튜어드다'', 세바스티앙 티에리의 ''상 아상세르''를 연출했다. 2006년 프랑수아 모렐의 ''콜렉션 파티큘리에르'', 2007년 티에리 일루즈의 ''제 아 투''를 연출했다. 2008년 패트릭 로빈의 ''라 페르므 데 콩콤브르''를 연출했다. 2009년 페테르 S. 로젠룬의 ''엥 이물리 구트''와 Roland Dubillard|es||fr||gl||ht||no프랑스어의 ''레 디아로그''를 연출했다.
그는 언어유희와 상황의 아이러니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면서도, 그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드러내는 데 능숙하다.
3. 1. 주요 작품
연도 | 제목 | 작가 | 비고 |
---|---|---|---|
1970 | 근육 딸기 | 장 미셸 리브 | |
1971 | 무화과나무가 가라앉아야 한다 | 장 미셸 리브 | |
1972 | 소문 | 장 미셸 리브 | |
나는 스테이크다 | 장 미셸 리브 | ||
밤색 나무 너머 | 장 미셸 리브 | ||
1973 | 근육 딸기 | 장 미셸 리브 | |
1974 | 차 한 잔을 위한 오디세이 | 장 미셸 리브 | |
1975 | 신이 원하신다 | 장 미셸 리브 | |
옴팔로스 호텔 | 장 미셸 리브 | ||
밤에는 물이 있는 카페에 머물다 | 장 미셸 리브 | ||
1976 | 작은 숲 맞은편 | 장 미셸 리브 | |
1977 | 재키 파라디 | 장 미셸 리브 | |
1983 | 전투 | 장 미셸 리브 | |
1986 | 반란 | 장 미셸 리브 | |
1990 | 스튜어드의 허벅지 | 장 미셸 리브 | |
1997 | 몽시외 몽드 | 장 미셸 리브 | |
1998 | 탈롱 데방 | 패트릭 보소 & 장 미셸 리브 | |
2001 | 동물이 없는 극장 | 장 미셸 리브 | 최우수 코미디 부문 몰리에르상 최우수 극작가 부문 몰리에르상 프랑스 학술원 연극 대상 후보 – 최우수 창작 부문 몰리에르상 |
2004 | 뮤제 오, 뮤제 바 | 장 미셸 리브 | 후보 – 최우수 현존 프랑스어권 작가 부문 몰리에르상 후보 – 최우수 창작 부문 몰리에르상 |
2008 | 전투 | 장 미셸 리브 | |
2010 | 레 누벨 브레브 드 콩투아 | 장마리 구리오 & 장 미셸 리브 | |
2011 | 르네 레네르베 | 장 미셸 리브 | |
2013 | 동물이 없는 극장 | 장 미셸 리브 | |
2016 | 파 데라 레 마로니에 | 장 미셸 리브 |
4. 연출 및 기타 활동
1946년 파리에서 출생했다. 1970년에 첫 희곡 <근육질 딸기>를 발표하여 극작가로 곧바로 인정받았다. 20여 편의 희곡을 썼으며, 연극, 영화, TV 분야에서 배우, 연출가,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신랄한 유머로 유명하며, 특히 연극 분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4. 1. 연출
필리프 코르상(배우), 제라르 갸루스트(화가)와 1966년에 ‘겉옷(Pallium)’이라는 극단을 처음으로 만들었다. 학업을 계속하면서(불문학 석사와 스페인어 학사) 자신의 극단에서 배우와 연출을 계속했다. 1974년에는 연극계에서 주목받는 인물이 되고, 미셸 베르토와 함께 베르토-리브 극단(Compagnie Berto-Ribes)을 창단했다. 그는 부조리 희극 계열의 작품을 선호하는데 특히 베케트와 이오네스코 같은 작가들을 좋아하고 초현실주의 예술가들을 좋아한다. 샘 셰퍼드, 코피, 그룸베르그, 아라발 등의 현대 작품을 즐겨 다루는 연출가이다. 1980년대에 그가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을 한 티브이 시리즈물 <고마워 베르나르(Merci Bernard)>(1982~1984, FR3), <궁전(Palace)>(1988, Canal+)은 큰 성공을 거둬 대중들로부터 열렬한 호응을 얻기도 했다.4. 2. 영화 및 TV
- 1978: ''사기꾼''
- 1986: ''라 갈레트 뒤 루아''
- 1993: ''샤콩 푸르 투아''
- 2008: ''박물관의 하루''
- 2014: ''브레브 드 콩투아르''
1980년대에 그가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을 한 티브이 시리즈물 Merci Bernard|메르시 베르나르프랑스어(1982~1984, FR3), Palace|팔라스프랑스어(1988, Canal+)는 큰 성공을 거둬 대중들로부터 열렬한 호응을 얻기도 했다.
5. 수상 내역
- 2001년: 프레지르 뒤 테아트르 상
- 2002년: 몰리에르상(불어권 최고극작가상, 최고의 희극작품상) - 작품 <동물 없는 연극>
- 2002년: '연극의 기쁨상'
- 2002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연극대상
- 2007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기사) 등급[2]
- 2008년: 제1회 앙굴렘 불어권 영화 페스티벌 심사위원장
- 2010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예술문화훈장
참조
[1]
웹사이트
George Banu in dialogue with Jean-Michel Ribes and Matei Vișniec
http://www.sibfest.r[...]
2018-06-12
[2]
간행물
Décret du 6 avril 2007 portant promotion et nomination
http://www.legifranc[...]
2007-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